유튜브 iframe 소스 코드를 object, embed 코드로 변환하는 사이트
유튜브 iframe 소스 코드를 object, embed 코드로 변환하는 사이트
유튜브에서 원하는 영상을 퍼가기 할 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① 영상 주소를 그대로 복사해서 링크로 삽입하는 방법
② iframe 소스 코드를 복사해서 HTML 모드에서 삽입하는 방법
개인적으로 두 가지 방법을 현재 상황에 맞게 번갈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iframe 소스 코드를 object, embed 코드로 변경해주는 유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frame, object, embed 소스 코드는 무엇일까?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이 세 가지 소스 코드가 무엇인지는 그래도 대충은 알고 시작해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iframe(inline frame)은 하이퍼 텍스트 생성 언어(HTML)로 작성된 글에서 특정한 위치에 또 다른 HTML 문서를 보여주는 내부 프레임 태그를 말합니다. 웹문서 중간에 다른 웹문서의 영상이나 텍스트와 같은 내용을
원하는 크기로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코드를 의미합니다. object 태그는 iframe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코드입니다.
iframe과 object의 차이점은 네이버를 포함한 여러 웹사이트에서 iframe 코드를 보안상의 문제로 막아두는 경우가 있는데 iframe은 동영상 이외에 페이지 삽입이 가능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object 소스 코드가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embed 태그는 필자와 같이 프로그램 언어 문외한도 알 수 있을 만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드로 문서에 음악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삽입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태그를 말합니다. 대충 개념은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충분할 거 같습니다.
iframe to object, embed 변환하기
NuRi's Tools라는 사이트입니다. 한눈에 사용법이 들어오는 심플한 환경이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iframe 항목 빈칸에 복사한 소스 코드를 붙여넣기하고 [Convert 버튼]을 누르면 object 코드로 변환이 완료됩니다.
이번에는 상단 메뉴에서 Youtube를 선택하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embed 코드로 변환하실 수 있습니다.
변환된 소스 코드를 네이버 블로그에 테스트한 결과 유튜브 영상은 iframe 코드 자체가 허용되지 않는 코드라고 하면서 영상은 삽입되더군요. embed로 변경했을 때는 별다른 오류 내용 없이 삽입됩니다. 반면 구글맵은 코드를 변경해도 삽입이 불가했으니 참고 바랍니다.